내 블로그에서 가장 인기 있는 글 중 하나가 '영어 발음 공부'에 대한 글이다.

    그래서 오늘은 내가 전에 들었던 'Accent Makeover'강의의 Hadar Shemesh의 "5 Steps to Improve Your Pronunciation and Communication Skills"(영어 발음과 영어 회화 기술을 올릴 수 있는 5가지 방법)에 대해서 포스팅해보려고 한다. 

    *원본 팟캐스트 및 비디오를 보고 싶으신 분은 https://hadarshemesh.com/podcast/55/(팟캐스트)  youtu.be/cnVJQt-GlHE(유튜브)로 가면 된다.

     

     

    Hadar는 영어 발음과 영어 회화 기술을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소리를 인식] 할 수 있어야 하고 [발음 연습]을 해야 한다고 한다. 또한, 제대로 된 [억양]으로 뜻을 전달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효과적인 연습]이 동반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마지막으로 [연습한 것을 의도적으로 생각하며 말하기]를 해야한다고 한다.

     

    출처 : pixabay

     

    먼저 Perception 소리를 인식하는 것에 대해서 알아보자.

    영어와 한국어에는 많은 소리의 차이가 있다. 그 차이를 들으면서 구별할 수 없다면 당연히 그 소리를 정확하게 낼 수 없다. 영어 소리 사이에서도 비슷하게 들리지만 다른 소리들이 있는데 그것들 역시 구별해서 들을 수 없다면 당연히 직접 소리를 낼 수도 없다.

    좋은 예로 한국인들이 발음 공부를 하면서 많이 어려워하는 [i]와 [ɪ]가 있다. 

    이 둘은 분명 다른소리지만 그 차이가 그렇게 크지 않아서 많은 사람들이 구별하지 못한다. 그러다 보니 구별해서 발음하며 영어를 구사하는 사람도 적은 편이다. 별로 크게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는데 beach와 bitch의 발음을 정확하게 하지 못한다면 곤란해질 수도 있다.

    소리를 구별해 듣는 연습으로 좋은 것은 Minimal Pair 연습이다. 앞의 예에서 말한것처럼 [i]와 [ɪ]가 들어간 단어들을 묶어서 들어보는 것이다. Bin-bean / reach-rich / sin-scene 등의 단어들을 같이 들어보고 비교할 수 있는지 보는 것이다. 유튜브에 Minimal pair practice로 검색하면 많은 영상이 있으니 참고하면 좋다.

     

    두 번째 방법은 내 모국어에 없는 소리들을 발음할 줄 아는 연습을 하는 것이다. 이게 [발음 연습]이다. 

    Hadar는 발음을 연습하는 것은 기술적인 부분을 제대로 할고 해야 한다고 말한다. 특정 소리를 내는 방법은 한가지기에 정확한 위치에 혀를 두고 입술 모양을 정확하게 한다면 제대로 된 소리를 낼 수 있다고 주장한다. 

    각 소리들에 대한 정확한 혀 위치와 입술 모양, 턱의 열림정도를 보여주는 아주 좋은 유튜브 강의를 본 적이 있다. 그것에 대해서 따로 포스팅할 예정이니 궁금하신 분들은 찾아보시길 추천한다.

     

    세 번째로 강조하는 것은 Intonation 억양이다. 발음이 영어 발음을 잘하기 위한 기초재료들이라면 억양은 그 발음들을 어떻게 조합해 좋은 영어 문장을 만들 것인가에 관여한다. 강세를 어디에 어떻게 두고, 높낮이를 어떤 단어들에 둘 것이며 하는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영어를 할때도 모국어의 억양을 그대로 가져다 쓰는 경우가 많다. 한국어 같은 경우 높낮이가 거의 없이 평이한 톤으로 말하게 되는데 많은 한국사람들이 영어로 말할 때도 역시 평이하게 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영어는 좀 더 중요한 단어들에는 강세를 주고 높고 정확하게 말하는 반면 그렇지 않은 단어들은 약하고 작게, 그래서 중요한 단어들 사이에서 부드럽게 넘어가며 억양을 만들어 낸다. 

    억양에 대해서 어떤 사람들은 그렇게 중요하지 않다고 하는데 사실 개별의 발음보다 억양이 더 중요할 때도 있다. 예를 들어서 'Why would Joe bring anything?'이라는 문장을 보자. 여기서 만약에 'Why'를 강조한다면 '조가 "왜" 뭘 가져오는데?로 초대되지도 않는 사람이 뭘 가지고 오냐는 뜻이 된다. 그런데 'anything'에 강세가 들어간다면 '에이 뭘 가져온다 그래'의 느낌으로 아무것도 안 가져와도 된다는 뜻이 된다. 이렇게 억양에 따라 뜻이 달라지는 경우도 꽤 많기에(특히 예문처럼 짧고 단순한 문장일수록) 억양은 중요하다.

    또한 강의나 보고등 청중의 집중이 보통의 대화보다 더 필요한 상황에서도 억양으로 흥미를 더 유도해낼 수 있다. 그렇기에 억양을 제대로 익히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영어 발음 향상을 위한 방법으로 4번째는 효과적인 연습이다. 

    내가 원하는 뜻을 잘 전달하기 위해서는 단어들의 발음을 제대로 하는 것은 물론이고 어떤 식의 억양을 써야 하는지 아는 것과 그것을 생각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말할 때 사용하는 것은 다른 문제이다. 연습할 때는 연습이라고 생각하고 하기에 당연히 평소보다 더 신경을 쓰게 된다. 자신이 원하는 발음과 억양을 위해서 입모양 및 톤의 높낮이 등을 생각하고 말한다. 그렇지만 실제로 대화에 들어가게 되면 원래 하던 방식으로 돌아가게 되는 경우가 많다.

    Hadar는 연습으로 정확한 발음을 위한 입과 턱, 혀의 근육을 훈련시켜야 한다고 말한다. 자전거 타는 법을 한번 배우면 몸이 기억하듯이 입과 혀, 턱등이 정확한 위치를 기억할 수 있도록 매일 훈련해 줘야 한다고 말한다. 자신이 교정하고 싶은 발음이 들어있는 단어들로 시작해서 짧은 문장, 그리고 조금 더 긴 문장을 연습해보자. 

     

     

    마지막으로 연습한 모든 것들-발음, 억양 등-을 의도적으로 생각하며 영어 말하기를 할 때 사용하라는 것이다. 

    사람은 한번에 여러 가지에 집중하기 힘들기에 이렇게 의도적으로 연습한 것들을 적용시키기 좋은 영어 말하기는 가볍게 하는 대화(small talk)이나 친구들과 하는 편안한 대화가 좋다고 말한다. 직장 면접 인터뷰나 생각을 많이 해보고 정리해서 말해야 하는 사회 이슈에 대한 문제 등을 놓고 토론하는 영어 말하기는 적합하지 않다. 

    의도적으로 연습하고 있는 발음 소리 나 억양을 의식하며 말하면 처음에는 어색하고 어쩌면 발음 소리와 억양에 신경 쓰니라 대화를 자연스럽게 따라가지 못할 수도 있다. 하지만 반복해서 이렇게 의식적으로 연습한 것을 평소 대화에 가져오기 시작하면 어느 순간 연습한 것이 완전히 체화되어 더 이상 생각하지 않아도 내 것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해서 특정 발음, 억양이 내 것으로 익혀지는 걸 느끼게 되면 이것이 다시 동기부여가 될 수 있다.

     

     

    말이 어쩌면 조금 어렵게 다가올수도 있겠다. 간단하게 정리해서 지금 당장 해볼 수 있는 것을 나열해 보자면...

    1. 자신이 자신없는, 혹은 연습하고 싶은 발음을 찾는다.

    2. Minimal Pair Practice(비슷한 발음끼리 묶어진 단어 연습-예: bin-bean/bitch-beach/thanks-tanks)가 필요한 발음이라면 유튜브에서 검색해서 내가 정확하게 다른 소리를 구별해 낼 수 있는지 본다. 구별해 낼 수 있을 때까지 들으며 연습한다.

    3. 연습하고자 하는 발음이 들어있는 단어들, 문장들을 매일 꾸준히 연습한다.

    4. 어느정도 혀 위치와 입모양 등이 익숙해졌다면 가벼운 주제로 1분 동안 녹음을 해본다.

    5. 녹음본을 들어보며 자신이 연습했던 발음이 일반 대화에서 얼마나 자연스럽게 나오는지 혹은 어느 부분에서 틀렸는지 들어본다.

    6. 발음이 완전히 익숙해 질때까지 3,4,5를 반복한다.

     

     

    이 연습방법은 특별하거나 어려운 방법이 아니다. 단지 좀 지루하고 Critical Point 임계점에 다다를 때까지는 별 다른 성과도 없어 보여서 지속해 나가기가 쉽지 않을 뿐이다. 하지만 내 경험을 미루어 보건대 처음 연습하는 소리가 시간도 좀 걸리고 어렵지, 한번 해보고 나면 연습시간은 조금씩이라도 줄어들게 되더라. 그러니 3-4일 해보고 힘들다고 접지 말고 일단 하루에 최소 10분이라도 투자해서 연습해보자.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